2016년 1월 8일 금요일

거시경제학 이종화 , 신관호 2장~18장 솔루션 업로드

거시경제학 이종화 , 신관호 2장~18장 솔루션 업로드



거시경제학 이종화 , 신관호 2장~18장 솔루션

거시경제학 - 이종화,신관호 2장~18장 -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

연 습문 제 풀이 ? 1

연습문제 풀이는 신관호 교수가 거시경제학 강의를 10년 동안 하는 과정에서 도와 준 TA 들과 최근에 작업을 도와 준 김미주, 조동환, 김상순 학생에 의해 1차적으로 작성되었다. 이 종화 교수와 신관호 교수는 감수에 참여하였다. 연습문제 풀이를 도와 준 학생들에게 고마 운 뜻을 표한다.

? ? ? ? ? ? ? ?

2 장 연습문제 풀이

1.
1) 참. 교과서 P.48 참고 2) 참. 교과서 P.48 참고 3) 거짓. 쌀 생산 중에서 차지하는 최종재의 시장가치를 모르더라도 GDP의 계산에는 아무런 문 제가 없다. 왜냐하면 GDP의 값은 각 생산 공정에서 창출된 부가가치의 합을 더함으로 써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쌀 생산 과정에서 창출된 부가가치(쌀 판매가격-생 산비용)만 알면 된다. 4) 거짓. 어떤 재화, 예를 들어 밀가루가 최종재인지 아니면, 빵의 재료로 쓰일 중간재인지는 구 분이 쉽지 않다. 따라서 실제로는 각 생산단계별로 부가가치를 더하여 GDP를 계산한다. 5) 거짓. 이미 생산되어 존재하다가 다시 거래되는 것은 가격이 바뀌더라도 GDP 계산에 산입되 지 않는다. 6) 거짓. 실질 GDP의 크기는 base year의 가격체계를 사용하게 되므로 기준년도가 바뀜에 따라 가중치의 크기 역시 달라진다. 가격이 매년 비례적으로 변한다면 가중치가 고정되지만

2 ? 거시 경제 학

가격의 변화율은 재화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기준년도가 바뀜에 따라 가중치도 변화하고 실질 GDP 성장률도 바뀐다. 결국 기준년도가 계속 달라지면서 일관적인 GDP 의 성장률의 측정이 어려워진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7) 참. 공무원의 행정서비스는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으므로 정확한 가치를 알 수 없어 다른 방 법으로 계산하여 GDP에 포함시킨다. 즉, 정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 비용인 공 무원의 월급이 가치와 일치한다는 가정 하에 그대로 GDP에 포함시킨다. 따라서 주어진 문장은 참이다. 8) 거짓. 항상 그런 것은 아니다. CPI와 GDP디플레이터는 고려되는 상품의 종류가 상이하기 때 문에 만약 소비재가 아닌 물품들의 가격이 많이 상승한 경우는 오히려 GDP디플레이터 로 본 물가 변화가 과대평가될 수도 있다. 9) 불확실 삼면등가의 법칙에 의해 원칙적으로 성립한다. 하지만 이는 사후적인 계산일 경우이며 사전적인 총지출은 총생산과 다를 수 있다. 이에 대해선 8장에서 자세히 다룬다.

3.
1) 2008 basket구입비용= ×    ×    ×    2009 basket구입비용= ×    ×    ×    2010 basket구입비용= ×    ×    ×    2009년 CPI =

 × 100=103 

2010년 CPI =  × 100=124.6



물가상승률=    × 100=20.97



2) 1번과 같은 방식으로 계산.  ×    ×    ×    ×  2009년 CP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0년 CPI=    ×     ×    ×    ×    ×   물가상승률=    × 100=-6.413



연 습문 제 풀이 ? 3

3)  ×    ×    ×    ×   2009년 CPI=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10년 CPI=    ×     ×    ×    ×    ×     물가상승률=  ×     4) 기준년도를 어느 해로 설정하느냐에 따라 바스킷에 포함된 재화도 달라지며 가중치도 달 라지기 때문이다.

4 ? 거시 경제 학

? ? ? ? ? ? ? ?

3 장 연습문제 풀이

1.
1) 불확실하다. 이자율이 상승하면 소득효과와 대체효과가 발생해 둘 중 어느 효과가 크냐에 따라 저축 의 변화 방향은 달라진다. 자는 감소한다. 대체효과 : 이자율상승 ? 소비의 가격상승 ? 소비감소, 저축증가 소득효과 : 이자율상승 ? 소득증가 ? 소비증가, 저축감소 2) 옳다. 저축이 외생적으로 증가하면 총수요의 일부분인 소비가 외생적으로 감소해, 총수요가 감 소한다. 이자율에 관계없이 외생적으로 총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에 이러한 변화는 <그림 13-1>에서 총수요곡선이 주어진 이자율에서 총수요가 감소하는 방향인 왼쪽으로 이동 하는 것으로 표시된다. 공급이 고정된 모형을 가정하고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초과공급이 발생해 이자율이 하락한다. 하지만 이자율이 상승하면 투자의 기회비용이 증가하므로 투

?

2) 3)

<그림 3-1>



연 습문 제 풀이 ? 5

3) 옳지 않다. 총생산이 일정한 상태에서 정부지출이 증가하면 <그림 3-1>에서 총수요가 증가하여 이 자율이 상승한다. 이에 따라 정부지출이 증가한 만큼 소비와 투자가 감소하여 총수요가 이전상태로 회복된다. 노동시장은 항상 균형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실질임금에는 변화 가 없다. 4) 옳지 않다. 완전고용인 경제에서는 정부지출이 증가하면 이자율이 상승해서 구축효과가 발생해 민간 투자가 감소하게 된다. 즉, 결과적으로 정부지출증가분은 이자율 상승을 통한 투자 감소 로 완전히 상쇄되므로 원래 총공급과 일치하는 수준에서 균형이 달성된다. 5) 옳지 않다. 혹은 불확실하다. 3장에서 배운 모형에서는 명목가격이 결정되는 방식은 알 수 없다. 확실한 것은 이자율 변화를 통해 균형이 회복된다는 것이다. 명목가격이 결정되는 방식에 따라 참일 수도 있 고 거짓일 수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pk=10978291&sid=prayys&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78 Page
파일종류 : PDF 파일
자료제목 :
파일이름 : 거시경제학 이종화 신관호 2장~18장.pdf
키워드 : 솔루션,거시경제학,이종화,신관호,2장~18장


[관련자료]

- [솔루션] 미시경제학 4판 이준구(법문사)
- [솔루션] 화폐와 금융 9판 (저자 Mishkin(미시킨), 9th ed - The Economics of Money, Banking, and Financial Markets)
- 게임이론 1판 솔루션 (왕규호 , 박영사)
- [솔루션] 미시경제학 (미시적 경제분석의 이해, MICRO ECONOMICS) 지은이 김영산, 왕규호
- [솔루션] 로버트 핀다이크 미시경제학 6판
- [솔루션] 광학 2판 (저자 Grant R. Fowles, 2nd ed - Introduction to Modern Optics)
- [솔루션] 광통신공학 5판 (저자 Palais, 5th ed - Fiber Optic Communication)
- [솔루션] 계량경제학(Basic Econometrics)4판 - 구자라티 원서 ch1-22장 원서 저자 Gujarati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