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 검색

2015년 3월 25일 수요일

자동차의 구조 Down

자동차의 구조 Down



자동차의 구조

자동차의 구조


①시동 먼저 차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좌석에 앉아 키로 시동을 걸어야 한다. 그러면 배터리(Battery)에서 전기가 공급되면서 스타팅모터(Staring Motor)가 엔진의 프라이휠을 돌리게 되며, 그와 연결된 크랭크축,피스톤,밸브등이 함께 움직이기 시작한다.
②연료/공기의 공급 그와 동시에 ECU의 신호에 따라 인젝터(Injector)에서 적당한 양으로 분사된 가솔린과 흡기 매니폴드 (Intake Manifold)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혼합되면서 열려진 흡기밸브를 통해 실린더내로 유입되는데 피스톤의 하강에 따른 흡기관과 실린더내의 압력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실린더로 흡입된다.(흡기행정) 이때. 공급되는 공기는 에어클리너(Air cleaner)를 통과하면서 깨끗하게 걸러진 후 스로틀 바디(Throttle Body)의 콘트롤밸브에서 유입량이 조절되게 된다.
③엔진의 작동 실린더로 흡입된 홉합기는 흡.배기밸브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 피스톤이 상승...
①시동 먼저 차를 움직이게 하기 위해서는 운전자가 좌석에 앉아 키로 시동을 걸어야 한다. 그러면 배터리(Battery)에서 전기가 공급되면서 스타팅모터(Staring Motor)가 엔진의 프라이휠을 돌리게 되며, 그와 연결된 크랭크축,피스톤,밸브등이 함께 움직이기 시작한다.
②연료/공기의 공급 그와 동시에 ECU의 신호에 따라 인젝터(Injector)에서 적당한 양으로 분사된 가솔린과 흡기 매니폴드 (Intake Manifold)을 통해 공급된 공기가 혼합되면서 열려진 흡기밸브를 통해 실린더내로 유입되는데 피스톤의 하강에 따른 흡기관과 실린더내의 압력차에 의해 자연스럽게 실린더로 흡입된다.(흡기행정) 이때. 공급되는 공기는 에어클리너(Air cleaner)를 통과하면서 깨끗하게 걸러진 후 스로틀 바디(Throttle Body)의 콘트롤밸브에서 유입량이 조절되게 된다.
③엔진의 작동 실린더로 흡입된 홉합기는 흡.배기밸브가 모두 닫혀있는 상태에서 피스톤이 상승함에 따라 실린더내의 혼합기는 압축된다.(압축행정) 압축행정의 말기,피스톤이 상사점(실린더의 가장위쪽)에 달하기 조금전에 점화플러그(Spark Plug)의 불꽃점화로 혼합기는 상사점 가까이에서 연소가 이루어져 고온고압의 연소가스가 피스톤을 밀어 내려 크랭크축을 회전시키게 된다(팽창행정). 이후 흡기밸브는 닫히고 배기밸브가 열리고 압력이 내려간 실린더내의 배기가스를 피스톤이 하사점으로부터 상사점까지 밀여 올려 실린더 밖으로 배출시킨다.(배기행정) 이 배기가스는 배기 매니폴드(Exhaust Manifold) → 배기파이프(Exhaust Pipe) → 삼원촉매장치(Catalyst Honeycomb) → 머플러(Muffler)를 통해 대기중으로 방출된다. 혼합기의 연소에 의해 발생된 피스톤의 상하 왕복운동은 피스톤과 연결된 커낵팅로드(Con.Rod)를 통해 크랭크 축(Crank Shaft)을 회전시킴으로서 플라이 휠(FlyWheel)에 회전력을 전달하고 구동전달장치(Transsmission)로 전달되게 된다.
④동력의 전달 및 변속 플라이휠의 회전력은 운전자가 클러치를 밟고 있거나 기어를 중립상태로 있을 경우에는 바퀴로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는다. 기어를 중립상태에서 1단으로 움직인후 클러치 페달을 천천히 떼게되면 클러치의 다이어프램스프링 힘에 의해 클러치 디스크가 플라이휠면과 압착이 되면서 동력이 클러치축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동력은 곧바로 변속기에 전달되어 변화한 차의 조건에 맞추어서 구동차륜의 구동토크(구동력)와 회전수(주행속도)를 바꾸거나 자동차를 후진시킬 때 회전방향을 반대로 전달하기도 한다.
⑤바퀴의 구동 변속기의 변속비에 의해 결정된 구동력은 종감속장치와 차동장치(Differential)를 거치면서 최종 감속을 하게 되고 그 힘은 또다시 드라이브 샤프트(Drive Shaft)로 전달된다. 드라이브샤프트는 종감속장치로부터 차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으로 축방향으로 신축이 가능한 등속조인트(Constant velocity joint)가 내장되어 있다. 이 드라이브샤프트 양끝단에는 타이어가 장착되어 있으며, 엔진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드디어 타이어에 의해 노면에 전달되게 되고 자동차는 움직이기 시작한다.
섀시
①동력발생장치(기관)
-열에너지를 사용하여 기계적 에너지를 얻는 장치
②동력전달장치
-기관에서 발생된 동력을 자동차 주행상태에 알맞도록 회전수 회전력 조절하여 구동바퀴까지 동력을 전달하는장치
1) 클러치 : 엔진의 동력을 변속에 전달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장치
2) 변속기(transmission) : 변속기는 엔진의 동력을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고, 동력차단(중립)과 후진의 기능을 당담한다.
3) 추진축 (propeller shaft) (Drive line) : 변속기에서 종감속 기어 장치에 길이의 변화와 각의 변화를 주어 동력을 전달하는 축을 말한다.
4) 종감속기어 및 차동기어장치 : 종감속기어는 추진축에서 오는 동력을 최종 감속(4~8 : 1)시켜 직각에 가까운 각도로 뒤액슬 축에 전달하며, 차동장치는 양쪽 바퀴의 회전수 변화를 가능게 하여 요철 도로 및 선회 할 때 무리 없이 원활하게 회전하게 하는 장치
5) 구동바퀴(Drive Wheel) : 기관의 회전력을 받는 바퀴
③조향장치 (steering system) : 조향장치는 조향 핸들을 회전시켜 주행 방향을 임의로 바꾸는 장치로서 조향핸들,조향 축,조향 기어 및 조향 링키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④현가장치( Suspension System) : 현가장치는 차축과 프레임을 연결하고, 주행 중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승차감과 자동차의 안전성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⑤브레이크(Brake) 장치 : 운동물체(運動物體)와 정지물체(靜止物體)의 기계적 접촉에 의해서 운동물체를 감속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는 기능을 가진 장치

⑥기타장치 : 프레임, 타이어, 등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pk=11070061&sid=prayys&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9 Page
파일종류 : PPT 파일
자료제목 :
파일이름 : 자동차의 구조.ppt
키워드 : 자동차,구조,자동차의


[관련자료]

- 자동차공학 [파워트레인power train]


[추천자료]

- 어린왕자를 읽고 - 생텍쥐페리의 어린왕자를 읽고
- [독후감] 도서수양록 115개 (여자긔요미자료!!)/독서감상문/독후감모음집
- [독후감] `부자아빠의 투자가이드`를 읽고-부자아빠 가난한 아빠 3권
- [레포트] 먹어라 그렇지 않으면 먹힌다[독후감]
- [독후감] 사랑의 기술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