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 검색

2015년 3월 25일 수요일

d신호분석과 전기량 측정 Report

d신호분석과 전기량 측정 Report



d신호분석과 전기량 측정

d신호분석과 전기량 측정

1. 제 목

신호 분석과 전기량 측정

2. 목 적

함수발생기, 직류전압발생기, 오실로스코프, Multi-meter의 작동방법을 이해하고, 이들 실험기구를 이용해 신호를 분석하고 전기량을 측정한다.

3. 기본이론

1. 퓨리에 변환식

시간과 주파수영역의 신호는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통하여 서로간의 domain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이것은 하나의 신호가 무한한 정현파들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퓨리에 정리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시간을 변수로 하는 f(t)와 주파수를 변수로 하는 F(ω)는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서로 변환이 가능하다.



2. 퓨리에 변환의 종류

-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연속적인 신호를 시간에 따라 sampling을 한 형태의 신호로 생각하여 퓨리에 변환식을 그대로 계산한다.

-FFT (Fast Fourier Transform-고속 퓨리...1. 제 목

신호 분석과 전기량 측정

2. 목 적

함수발생기, 직류전압발생기, 오실로스코프, Multi-meter의 작동방법을 이해하고, 이들 실험기구를 이용해 신호를 분석하고 전기량을 측정한다.

3. 기본이론

1. 퓨리에 변환식

시간과 주파수영역의 신호는 퓨리에 변환(Fourier transform)을 통하여 서로간의 domain으로 변환이 가능하다. 이것은 하나의 신호가 무한한 정현파들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퓨리에 정리를 기본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시간을 변수로 하는 f(t)와 주파수를 변수로 하는 F(ω)는 다음과 같은 식을 통해 서로 변환이 가능하다.



2. 퓨리에 변환의 종류

- DFT (Discrete Fourier Transform)
연속적인 신호를 시간에 따라 sampling을 한 형태의 신호로 생각하여 퓨리에 변환식을 그대로 계산한다.

-FFT (Fast Fourier Transform-고속 퓨리에 변환)
DFT가 계산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기 때문에 고안된 방법이다.
sampling된 신호의 전부를 변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필요한 신호만을 골라내어서 최소화하여 고속으로 퓨리에 변환을 연산한다.
사용법의 예를 들어보면 총 100개의 DFT신호가 있을 경우 그중 10개를 골라낸 후 10개의 신호를 단순히 연결함으로써 제외된 신호들의 예상치를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변환시간의 문제로 인해 실제적으로는 거의 대부분 FFT를 사용하고 있다. DFT를 사용할 경우보다 최고 1000배의 차이가 나게 된다.

4. 실험기구명
. multi-meter
1. 전원 ON
2. 단자 연결 → 전압 저항 측정 : V , kΩ + com
→ 저항 측정 : mA + com
3. 예상 측정 잔업 범위(Range)를 선정
4. 측정하고자 하는 단자에 커넥터를 연결
(잘못 연결 시 1로 표시됨)

. 함수발생기
1. 전원 ON
2. 원하는 파형의 function switch를 선정
3. 주파수 크기 선정
4. 오실로스코프를 이용

. 직류전압발생기
1. 전원 ON
2. 커넥터를 연결
3. 원하는 전압을 선정 (+미세조절기)

. 오실로스코프
`화면조정과 전원부`

1. POWER : 전원 스위치를 누르면 ON이 되고 다시한번 누르면 OFF가 된다.  
3. INTENSITY : 밝기(휘도 intensity)를 조절한다.
4. FOCUS : 영상의 초점을 맞추는데 쓰이며 휘도 조절기와 함께 가장 선명하고 보 기 좋은 상태로 조작하도록 한다.
5. TRACE ROTATION : 화면이 기우뚱하게 되었을 때, 드라이버 등으로 좌우의 균 형을 맞추는데 쓰인다.
6. SCALE ILLUM : 눈금의 밝기를 조절하며 ,어두운 곳에서 관측할 때나 화면의 사진촬영을 할 때 사용 합니다

` 수직증폭부 `

9. CH 1,X IN 콘넥터 : 입력신호를 CH1 증폭부로 연결하거나 X-Y 동작 시 X축 신호가 된다.
10. CH 2, Y IN 콘넥터 : 입력신호를 CH2 증폭부로 연결하거나 X-Y 동작시 Y축 신호가 된다.
11,12. AC/GND/DC 절환스위치 : 입력신호와 수직증폭단의 연결방법은 선택할 때 사용한다.
GND 상태 : 해당 채널의 파형에 대한 기준위치(ground)를 나타낸다. 스위치를 이 상태에 놓으면 수평선이 나타나고 그 위치가 기준 위치, 즉 0[V]의 상태이다.

DC 상태 : 일반적인 측정에서는 항상 이 상태로 놓고 측정한다. AC-DC를 모두 볼 때 사용한다.입력전압의 크기가 GND 상태의 기준위치에 대한 높이로서 나타난다.

AC 상태 : 파형중에서 DC성분을 제외한 나머지 AC성분만을 따로 보고자 할 때 사용한다.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교류성분만이 나타난다.

13,14. VOLTS/DIV : 화면상의 높이를 나타내는 격자눈금(division)간의 간격을 조절한다. 예컨데  2V/DIV 으로 나타나는 파형의 크기는 증가하고 높은 값으로 맞출수록 파형의 크기가  감소한다

15,16. VARIABLE : 파형의 크기를 연속적으로 증감시킨다. VOLTS/DIV보다 민감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이를 돌려 놓으면 VOLTS/DIV의 눈금간격이 맞지 않게 되므로 크기를 정확히 측정할 때에는 시계방향으로 끝까지 돌려 잠근 상태로 측정한다.(CAL위치로의 전환하는 것이 된다.)

17.18. POSITION : 화면에 나타난 파형을 전체적으로 위아래로 이동시킨다. 측정을 행하기 전에 AC/GND/DC 절환스위치를 GND 로 놓은 상태에서 기준위치를 상하로 이동, 원하는 위치(예컨데 화면의 가운데)로 설정한 다음 측정을 행하도록 한다.

19. V.MODE :수직축의 표시형태를 선택하는데 이용된다. 
CH1 : CH1에 입력된 신호만 CRT상에 나타난다
CH2 : CH2에 입력된 신호만 CRT상에 나타난다.
DUAL : CH 1,CH 2 의 파형을 동시에 나타낸다.
ADD : CH 1과 CH2의 신호가 더해져서 나타난다.

` 소인과 동기부 `
21. HORIZONTAL DISPLAY: A와B를 동시에 누루면 된다.
B TRIG’D: 지연소인이 첫번째 동기펄스에 의해 동기 된다.
X-Y: X-Y 동작이 선택됩다
22. A TIME/DIV, 23 B TIME/DIV : (sweep speed selection) : 화면상의 시간축(좌우) 눈금크기의 변경에 사용된다. 짧은 주기를 갖는 신호나 긴 주기의 신호를 조절하여 스코프의 화면에 나타나도록 한다.

24. DELAY TIME POSITION :A소인에서 B소인을 선택했을 때 정확한 시작점을 맞추는데 사용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pk=11067735&sid=prayys&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2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파일이름 : d신호분석과 전기량 측정.hwp
키워드 : d신호과,전기량,측정,d신호분석과



[추천자료]

- 테겔지구에 대하여
- 중력 가속도의 측정
- [레포트] 힘과 물체의 평형[결과 보고서]
- [공학] 창의적 공학 설계 - 자동차 만들기 보고서
- 흙의 함수비 시험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