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기술론 다운로드 인지행동모델 Down
사회복지실천기술론 다운로드 인지행동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인지행동모델
인지행동모델
제 1절 인지행동모델의 철학과 기본개념
1. 인지행동모델의 철학
2. 인지행동모델의 기본개념
제 2절 인지행동모델의 개입목표 및 과정
1. 인지행동모델의 개입목표
2.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과정
제 3절 인지행동모델의 개입기법
1. 엘리스(A. Ellis)의 합리적 정서치료(Rational Emotion Therapy)
2. 벡(Beck)의 인지치료(Cognitive Therapy)
3. 즈릴라(D??Zurilla)와 골드프라이드(Goldfried)의 문제해결치료(Problem-Solving Therapy)
인지행동모델
?? 인지행동모델의 철학과 기본개념
1) 인지행동모델의 철학
⑴ 인지행동모델
① 하나의 실천모델이 아니라 인지이론과 행동주의적 요소가 결합된 개념이다. 즉, 생각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인 인지과정의 연구로부터 도출된 개념과 함께 행동주의와 사회학습이론으로부터 나온 개념들을 통합 적용한 것이다.
? 인지이론 : 아들러의 개별심리학, 엘리스의 이성 및 감성 정신치료, 워너의 이성적 개별사회사업, 글래서의 현실치료의 사고체계를 모두 포함한다.
? 행동주의적 요소 : 과제주기, 보상, 강화, 반복, 행동기술의 교육 및 습득 원조 등
② 문제에 초점을 둔 시간제한적인 접근으로서 클라이언트가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한 대처기제를 학습하는 교육적 접근을 강조한다.
③ 인지변화는 감정의 변화로 쉽게 이어지는 반면에, 자동적으로 행동변화를 수반하는 것은 아니므로 행동변화로 이끌기 위한 다양한 행동주의 기술과 기법들을 적극 활용한다.
④ 인지행동모델에 입각한 치료
? 문제를 일으키는 잘못된 사고의 유형을 확인한 후 점검하고 재평가하여 수정할 수 있도록 원조한다.
? 행동치료, 인지치료, 합리정서치료, 현실치료, 인지행동치료가 있다.
⑤ 주요 학자 : 벡(Beck), 엘리스(Ellise), 마이켄바움(Meichembaum), 즈릴라(D`Zurilla), 골드프라이드(Goldfried), 마호니(Mahoney) 등
⑵ 인지행동모델의 기본적인 가정
① 인지활동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
② 인지활동은 모니터되고 변경될 수 있다.
③ 바람직한 행동변화는 인지변화를 통한 영향을 받는다.
알 아 두 기
집단을 대상으로 정신치료를 하였을 때 교화적인 치료요인들(Yalom, 1985)
□ 희망과 고취 : 단주모임(Alcohlics Anonymous)에서 신입회원은 단주에 성공한 선배회원을 보고 희망을 갖게 된다.
□ 보편성 : 자신의 문제가 독특한 것이 아니라 보편적인 문제라는 것을 인식함으로써 치료에 적극적으로 임하게 된다(가정폭력 피해자 집단에서 개인적인 문제가 이날 사회문제라는 인식을 갖게 됨).
□ 정보전달 : 장애아동의 부모모임에서 부모들은 아동의 교육과 치료를 위한 다양한 정보를 서로 공유한다.
□ 이타심 : 자존감은 치료적 효과가 있다. - “한 사람을 돕는 최선의 길은 그가 당신을 돕게 하는 것이다.”
□ 1차 가족집단의 교정적 반복 발달 : 클라이언트들은 집단을 통해 간접적인 가족의 경험을 함으로써 원 가족에서 영향을 받은 상처나 문제행동을 교정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 사회화 기술의 발달 : 집단의 경험은 대인관계의 중요성과 집단성원들 간의 솔직한 피드백을 통해 사회관계상의 문제점을 수정하는 기회를 갖게 된다.
□ 모방행동 : 클라이언트는 집단에서 치료적 효과가 있는 집단성원의 행동을 모방함으로써 치료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 대인관계학습 : 자신의 독특성을 찾고, 다른 사람의 독특성을 인정하는 경험을 함으로써 바람직한 대인관계기술을 배울 수 있다.
□ 집단응집력 : 소속감과 친밀감, 존중감 등으로 치료의 가치를 지닌다.
□ 정화 : 자신들의 억눌리고 불편했던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함으로써 문제해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 실존적 요인들 : 각자의 경험들을 공유함으로써 독자적인 특성을 인정하게 되고, 자신의 문제는 스스로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2) 인지행동모델의 기본개념
⑴ 인지행동모델의 이론적 배경
① 워너(Werner)
? 저서「개별실천의 이성적 접근법」은 사회복지실천 분야에서 인지론적 접근으로 시선을 돌리게 된 계기가 되었다.
? 인간문제에 대한 워너의 개입 논리 : 클라이언트의 생각을 바꾸면 클라이언트의 삶의 방식과 삶의 목적이 자동적으로 수정될 것이다.
② 랜츠 :「인지이론과 사회사업」에서 대부분의 감정은 각자가 생각하고 자신에게 말하고, 가정하고, 자기 자신과 자신들을 둘러싼 사회 환경에 대해 믿고 있는 바들의 직접적인 결과라고 하였다.
③ 벌린 :「사회복지실천」에서 인지론적 학습관점을 제시하였다.
④ 골드스타인
? 사회복지실천의 인지 ? 인본적 접근법을 소개하면서 창조적인 문제해결과정에 있어서의 절차를 다섯 단계로 제시하였다.
? 의식의 첨예화, 현실의 재정의, 과거의 재해석, 사회적 ? 환경적 결핍의 현상화, 창조적 해결 도출
⑤ 기타 : 레이드(1977)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중심적 접근법, 피셔(1978)의 다변적 접근법, 갬브릴(1983)의 인지 및 행동주의적 모델 등
⑵ 인지행동모델의 이론
① 인지행동이론
? 인간은 개인적, 환경적 그리고 인지적 영향력 사이의 끊임없는 상호작용에 의해 행동한다는 것을 바탕으로 한다. 즉, 인간의 행동을 개인과 환경 간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본다.
? 환경적 조건과 개인의 행동을 조성시키고 개인적 조건은 다시 환경의 조건을 형성한다는 상호결정론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
② 인지이론 : 인간의 인지능력을 경험과 사회적 상호작용의 결과로 보는 관점으로, 인간의 사고가 정서와 행동의 결정인자라는 점에 기반을 두고 있다.
? 인지 : 일반적으로 사고의 능력을 의미하는 것으로, 넓게는 사고 외에 지각, 기억, 지능, 언어 등을 포함하는 정신과정으로 보기도 한다.
? 인지이론의 구성 : 인간의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pk=11027707&sid=prayys&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11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파일이름 :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인지행동모델.hwp
키워드 : 사회복지실천기술론,인지행동모델,다운로드
[추천자료]
-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사윤리강령- 한국, 일본, 미국을 중심으로
- 의료분야의 실버산업
- 독거노인 정책의 현황 및 문제점 독거노인 복지 방안과 성공적 사례 예시(2012년 추천 우수 레포트 선정★★★★★)
- 미국 사회복지 발달사
- [사회과학] 사고와표현 - 학생 체벌에 관하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