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블로그 검색

2015년 3월 25일 수요일

지역별 향토음식 Down

지역별 향토음식 Down



지역별 향토음식

지역별 향토음식

차 례

Ⅰ. 향토음식의 개념과 특징
1. 향토음식의 개념
2. 향토음식의 특성

Ⅱ. 각 지역의 향토음식
1. 경상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2. 전라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3. 충청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4. 강원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5. 서울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6. 경기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Ⅲ.結
- 향토음식의 발전을 위한 방안
향토음식의 개념

한 나라나 민족의 고유한 음식은 그들의 지리적역사적인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며 발전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고유한 식생활 전통이 형성된다. 한국 전통음식 또한 한반도의 자연적 환경과 사회적 문화가 융화되어 우리 조상들이 창안 발전시켜... 차 례

Ⅰ. 향토음식의 개념과 특징
1. 향토음식의 개념
2. 향토음식의 특성

Ⅱ. 각 지역의 향토음식
1. 경상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2. 전라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3. 충청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4. 강원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5. 서울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6. 경기도
1) 지역적 특징
2) 지역적 특산물
3) 향토음식

Ⅲ.結
- 향토음식의 발전을 위한 방안
향토음식의 개념

한 나라나 민족의 고유한 음식은 그들의 지리적역사적인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아 독특한 문화를 형성하며 발전하고, 그러한 과정에서 고유한 식생활 전통이 형성된다. 한국 전통음식 또한 한반도의 자연적 환경과 사회적 문화가 융화되어 우리 조상들이 창안 발전시켜온 민족적 지혜의 총화라 할 수 있다. 한국전통음식은 사계절의 영향을 받으며 각 고장의 독특한 산물을 이용하여 충분한 영양과 맛을 지니며, 육식과 채식의 절묘한 조화를 이루어 오늘날 그 우수성과 합리성이 증명되고 있다.
한국 음식문화를 가장 잘 나타내 주고 있는 것이 향토음식이다. 향토음식은 특정 지역의 기후 지세 등 자연환경에 순응하면서 독특하게 개발된 음식이다. 또한 그 지역이 겪어 온 정치 경제 문화의 변천과 영향을 받으면서 그 지역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써 타 지역의 음식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 맛과 형태를 지는 음식을 말한다. 하지만 특정 지역의 음식이라도 시대적 변화 예컨대 정치 사회문화적 여건에 따라 음식이 영향을 받으며, 자연환경의 변화에 따라 음식의 맛은 변화를 거듭한다. 따라서 현재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은 긴 역사를 통해 여러 지역에서 다양하게 발전된 향토음식의 큰 집합체라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조선시대의 화려했던 궁중음식이 있었고, 이는 기품 있는 반가의 음식과 교류되었다. 반가의 음식과 서민의 소박한 음식은 그 고장에서 특색 있게 지켜져 내려오는 향토음식을 보여 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전통음식은 농경의례와 세시풍속에 지역성, 시간성, 문화성을 담아 발전하였다고 볼 수 있다.

향토음식의 특성

우리나라는 백두대간이 한반도의 동쪽에서 발달되어 있으며, 동북쪽에 산지가 발달한 것에 비해 남서쪽은 평야가 발달되어 있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각 고장마다의 산출식품이 다양하였다. 또한 유구한 역사가 흐르면서 각 시대에 따라 영토의 경계가 달랐으며, 왕조가 교체될 때 도읍이나 도시의 발달이 지역적으로 다양하였다. 이를 계기로 지역마다 독특한 생활문화를 갖게 되었으며, 이는 음식문화에도 적용되었다.
향토음식은 그 고장이 갖는 기후 지세 등 자연환경에ㅔ 순응하면서 독특하게 개발된 음식이며, 그 고장이 겪어 온 정치 경제 문화 변천의 영향을 받으면서 그 고장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먹는 음식으로써 각기 다른 고장의 음식과는 비교할 수 없는 특성을 가진 맛과 형태를 지닌 음식을 말한다. 즉, 예로부터 어느 한 지역 사회에서 서민 대중 사이에 대대로 만들어 먹어 온 맛과 멋을 지닌 음식으로 지역성독창성의례성이라는 특성이 있다.
◎ 향토음식의 지역성

향토음식은 공간적 환경을 이루는 자연 지리적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특정지역에서 생산되는 식품의 종류가 다른 데서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산간지방과 해안지방, 여름철과 겨울철에 생산되는 산물의 차이가 있으므로 이를 이용한 향토음식이 탄생하게 되었고, 이는 그 지역 이외의 다른 곳과 차별성이 있으며, 각 지방 사람들의 기호의 차이를 만들었다.
예로부터 설날에 북쪽지방 사람들은 만둣국을 해서 먹었던 것에 비해 북쪽지방에서는 떡국을 먹었다.
주식으로는 북쪽지방 사람들이 조밥이나 기장밥 등의 잡곡밥을 먹었던 것에 비해 남쪽지방 사람들은 쌀밥이나 보리밥을 먹었다. 밭농사가 용이했던 북쪽 산간지방과 논농사가 가능했던 남쪽 평야지대의 지리기후적 차이가 있었기 때문이다. 반찬으로는 산간지방에서는 김치류, 장아찌류, 마른찬류, 절이거나 말린 생선, 산채류 등을 이용하였고, 해안이나 도서지방에서는 싱싱한 어패류나 해초류를 이용한 음식을 즐겼다. 또 김치 담글 때 남쪽지방에서는 젓갈을 많이 이용하였고, 간을 강하게 하여 짜고 맵게 담가서 비교적 따뜻한 기후에 김치의 저장기간이 오래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에 비해 서울 이북지방에서는 김치의 간을 삼삼하게 하고 김치에 들어가는 양념의 양을 적게 하여 무나 배추 자체의 맛을 즐겼으며, 맑고 시원한 김칫국을 이용한 면 음식도 즐겼다.
그러나 같은 환경에서도 토양의 변화와 외래 작물의 도입으로 인해 산출되는 식품의 종류가 달라지고, 기온의 온난화와 이상 현상에 따라 생산되는 수산물의 종류 및 어획량 또한 변화되고 있다.
또한 농산물의 시설관리재배 기술의 발달로 계절에 관계없이 생산되는 식품의 종류가 늘어 제철식품에 대한 개념이 모호해졌다. 이러한 여러 요인들로 인하여 향토음식문화도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특히 그 공간적 환경이 외부와의 접촉이 잦은 곳일수록 변화의 속도는 가중되고 있다.

◎ 향토음식의 독창성

향토음식을 조리법 중심으로 보면 그 고장에서만 내려오는 고유한 조리법으로 음식을 만드는 것이 분명히 지역을 대표할 수 있는 향토음식의 특징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과거 조기는 서해안에서 가장 많이 잡히는 생선 중의 하나였다. 조기는 법성포의 질 좋은 소금과 만나 굴비로 탄생하였다. 또한 강원도의 황태는 진부령 골짜기의 찬바람이 만들어 낸 걸작이다.
안동은 사람문화를 꽃피운 가장 대표적인 곳이다. 따라서 제향의식도 발달하였으며, 이곳의 제물 중 특이한 것이 있는데, 바로 간고등어적이다. 비늘이 없는 생선은 제상에 제수로 올라가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내륙지연인 안동에서는 과거 싱싱한 생선을 구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았다. 따라서 동해안에서 잡힌 고등어를 미리 손질하여 소금 간을 해서 운반하면 상하지도 않을



자료출처 : http://www.allreport.co.kr/search/detail.asp?pk=11070337&sid=prayys&key=



[문서정보]

문서분량 : 57 Page
파일종류 : HWP 파일
자료제목 :
파일이름 : 지역별 향토음식.hwp
키워드 : 지역별,향토음식


[관련자료]

- 프랑스 음식
- 중국전통음식
- 일본음식의 역사 및 종류와 특징 총체적 조사분석
- 외국 음식문화) 미국의 식생활 문화
- 러시아 음식
- 남유럽의 식생활문화) 이탈리아, 스페인 음식 문화
- [일본의 음식문화] 일본의 음식문화와 특징
- [일본대중문화론] 일본의 음식문화

댓글 없음:

댓글 쓰기